반응형
정점간의 관계를 인접행렬을 통해 나타낸다.
인접행렬은 2차원 배열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|
#pragma once
#include <iostream>
#define MAX_VTXS 100
class AdjMatGraph {
protected:
int size;
char vertices[MAX_VTXS]; // 정점을 배열로 표현
int adj[MAX_VTXS][MAX_VTXS]; // 연결성을 나타내는 인접행렬을
// 2차원 배열로 표현
public:
AdjMatGraph() { reset(); }
char getVertex(int i) { return vertices[i]; }
int getEdge(int i, int j) { return adj[i][j]; }
void setEdge(int i, int j, int val) { adj[i][j] = val; }
bool isEmpty() { return size == 0; }
bool isFull() { return size >= MAX_VTXS; }
void reset() { // 그래프 초기화
size = 0;
for (int i = 0; i < MAX_VTXS; i++) {
for (int j = 0; j < MAX_VTXS; j++)
setEdge(i, j, 0);
// 인접행렬을 모두 0으로 초기화
}
}
void insertVertex(char name) { // 정점 삽입
if (!isFull()) vertices[size++] = name;
else printf(" 그래프 정점 개수 초과\n");
}
void insertEdge(int i, int j) { // 간선 삽입
setEdge(i, j, 1);
setEdge(j, i, 1);
// 위의 코드는 무방향 그래프인 경우임.
// i에서 j로, j에서 i로 모두 연결
//
// 방향 그래프의 경우에는 두 라인 중에 하나만 작성해야됨.
// i에서 j로의 방향 or j에서 i로의 방향
}
void display(FILE* fp = stdout) { // 그래프 표시
fprintf(fp, "%d\n", size);
for (int i = 0; i < size; i++) {
fprintf(fp, "%c ", getVertex(i));
for (int j = 0; j < size; j++)
fprintf(fp, " %3d", getEdge(i, j));
printf("\n");
}
}
};
|
cs |

반응형
'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스택, ArrayStack (0) | 2022.12.07 |
---|---|
[자료구조] 인접리스트로 구현한 그래프 (2) | 2022.12.03 |
[자료구조] 그래프 (0) | 2022.12.03 |
[자료구조] 우선순위 큐, Heap (1) | 2022.11.30 |
[자료구조] 이진탐색트리 삭제 연산 (0) | 2022.11.18 |